Tic Toc

1. 농사 길라잡이. 55렙존 진흙구덩이를 통해 종자개량을 노려라!


  - 1편에서도 말했지만, 현재 농사는 효율이 좋지 않다. 신섬들이 우후죽순으로 생겨나고 있는 요즘, 몇시간이나 걸리는 목화 꾸역꾸역 재배하느니 그냥 섬 돌아다니면서 목화 캐면 된다. 아마도 마찬가지.


  - 다만 특정 재료에 한해서 농사가 필요한 작물들이 있는데 요리와 관련한 쌀, 밀, 옥수수와 환약 재료인 라벤더, 보라튤립 정도가 괜찮다.


  - 사실 라벤더, 보라튤립도 45렙, 50섬에서 있는대로 캐와도 상관없지만, 50렙 밭에 45렙 라벤더 종자를 심으면 47레벨 라벤더를, 다시 그 종자를 캐서 47레벨 라벤더를 심으면 49레벨 라벤더를 얻을 수 있으므로 작물 레벨을 올릴 수 있어 괜찮다.(농사꾼이 아니라면 뭔소린지 이해가 안 갈 것이다. 밑에 설명하겠다. 뭐 이것도 나중가서 65렙 사바나 무법섬이 나오면 캐는게 개이득으로 얘기가 달라지겠지만)  목화, 사탕수수 등의 작물을 키우는 것은 추천하지 않는다. 무엇보다 스포가 아깝다. 그냥 나가서 캐오자.


  - 쌀, 밀, 옥수수를 재배해야하는 이유는 떡볶이, 제빵(고기빵/케이크), 튀김가루 등을 만들기 위해서이다. 이 요리들이 효율이 매우 좋지만, 현재 불안정섬에서 고레벨 채집으로 얻을 수 없는 쌀, 밀 옥수수가 재료로 들어가기 때문에 고레벨의 작물들을 얻기 위해서는 농사가 필수이다.


 - 서론이 너무 길었는데, 어찌되었건 밭에다가 종자를 심게 되면 결과물과 함께 개량된 종자가 나온다. 농사 결과물과 종자의 레벨은 (밭레벨+해당식물의종자레벨)/2 이다. 예를들어 30레벨 밭에 26레벨 옥수수를 심으면 28레벨 옥수수와 28레벨 옥수수 종자가 나온다. 이렇게 만들어진 28레벨 종자를 다시 30레벨 밭에 싶으면 29레벨 옥수수와 29레벨 종자를 얻게된다. 물론 이 과정을 한번 더 반복하면 비로소 30레벨 종자를 얻게되는 것이다. 또한, 종자 레벨은 한번에 2 이상 오르지 않으므로 어느 정도의 노가다를 요한다. 이를 종자 개량이라 한다.


 - 그럴거면 그냥 마켓에서 높은 레벨의 종자를 사는게 낫지 않냐는 사람도 있는데, 오산이다. 종자 개량은 기후적합성도 개량하기 때문이다. 듀랑고의 식물들은 각각 잘 자랄 수 있는 지역이 정해져 있다. (예를 들어 열대지역에서는 보라튤립이 잘 자라고 목화나 아마는 잘 자라지 못하지만, 툰드라 지역에서는 그 반대이다.) 따라서 처음 종자를 구했을 때의 기후적합성은 해당 종자를 채집한 곳의 기후와 같다. 예를 들어 툰드라 지역에서 목화 종자를 채집하였다면 해당 목화 종자의 기후적합성은 툰드라인 것. 문제는 이 종자를 그대로 가져다가 툰드라에 심으면 상관없지만, 열대에 심으면 해당 작물이 썩어버리거나, 농작물이 제대로 나오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한번이라도 성공해서(그리 낮은 확률은 아니다. 4번 심으면 한 두번 정도 성공한다.) 다시 종자를 거둬들이게 되면, 거둬들인 종자는 그 땅 지역 기후에 적합하게 개량된다. 예를 들어 목화종자를 열대에 심어 재배에 성공하였다면, 거둬들인 그 종자의 기후적합성은 툰드라가 아니라 열대가 되는 것이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따라서 본인의 기후와 종자의 기후가 다르다면 어떻게든 한번이라도 성공시키도록 하자. (이를 위해 비료와 물을 주는 것을 추천한다.)

(연구필요)


 - 결국 높은 레벨의 농사와 종자개량을 위해서 필요한 요소는 크게 네 가지이다.

  1) 농사레벨 (55레벨 추천)

  2) 진흙레벨(55레벨 추천)

  3) 종자레벨 (사실 크게 상관은 없지만 한번에 2레벨씩 오르기 때문에 귀찮다. 최대한 높은 레벨대의 종자를 사서 개량하도록 하자.)

  4) 기후적합성 (온대 섬에서는 대부분의 작물이 괜찮게 자라기 때문에 웬만하면 온대 섬에 살도록 하자.)


 - 가장 중요한 농사레벨과 진흙레벨을 위해서는 55레벨 불안정섬의 진흙구덩이를 찾자. (60레벨 진흙은 무법섬이 열리지 않았기 때문에 현재 구할 수 없다.) 이유는 크게 세 가지이다.


 1) 가장 높은 레벨의 똥(비료재료)과 진흙을 구할 수 있다.

 2) 흙과 똥을 캐면 채집과 농사 스킬 숙련도를 동시에 올릴 수 있다.

 3) 45렙 이상의 삽을 갖고 다니는 사람들이 많이 없기 때문에 경쟁이 덜 치열하다. (55레벨 진흙을 캐기 위해서는 45렙 이상의 삽이 필요하다. 필자는 금속 삽을 추천한다. 워프유적에서 심심찮게 구할 수 있을 뿐더러, 애초에 삽 자체가 잘 안팔리기 때문에 섬장터에서 매우 싼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


 - 진흙 파밍으로 오지게 농사숙련도를 55레벨까지 올리고 난 후 농사짓는 것을 추천한다. 농사45레벨 유저가 55렙 흙으로

밭 만들어봤자 45렙 밭 나온다. 엄청난 노가다를 요하지만, 일단 55레벨 밭을 일구고 나면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된다. 현재 농사 레벨은 55레벨까지만 찍는 것을 추천한다. 60레벨에서의 커피 등의 작물은 현재 구현이 되어있지 않았기 때문일 뿐더러 55레벨 이상의 흙을 구할 수 없기 때문이다.

 


2. 너무 비싼 부족 영토 유지비와 부족원 먹튀?! 친구 권한으로 해결하자.


  - 부족 영토 확장/유지비는 인간적으로 너무 비싸다. 4칸만 지어놔도 하루에 2500원이 넘게 빠져나간다. 신생 부족인 경우에는 이 부담이 작지 않은데, 개인사유지의 친구공개 권한을 통해 편법을 써보도록 하자.


  - 부족 영토 확장에 비해 개인 영토 확장과 유지비는 너무 싸다. (인간적으로 너무 차이가 많이난다. 필자는 총 6칸의 땅을 가지고 있는데 유지비가 500원도 채 나오지 않는다.) 따라서 개인 사유지확장을 부족 영토로 써버리고, 부족 영토는 1~2칸만 창고로 활용하자.


  -


  사유지 - 개인 - 권한 설정으로 들어가면 친구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족장은 생산직 등 몇명만 친구로 설정하여 부족에 들어와 아이템만 쏙 빼가는 일종의 먹튀족을 예방할 수 있다.


 1) 부족원이고 친구도 되어있는 사람 : 족장이나 장로급, 생산관리자 급의 사유지를 마음껏 이용할 수 있다.

 2) 부족원이지만 친구가 되어있지 않은 사람 : 부족 사유지 내의 시설물(창고 등)만 이용이 가능하다.


 - 따라서 재료 등 (나무, 광석, 솜, 아마 등 의 1차재료와 천, 새끼줄 등의 2차재료 까지만)을 수급하는 상자들은 부족 영토에 넣어 공공재로 사용하고, 최종 생산물 (옷, 무기, 건설품 등)은 족장이나 관리자 급 사유지에 넣어 필요할 때마다 부족원들한테 배분하는 것이 먹튀를 예방 할 수 있다. 또한 부족 영토 유지비를 아낄 수 있기도 해서 일거양득이다.




 -


  - 또 하나의 팁인데, 친구들이 가져가길 원하지 않는 상자들이 있다면 기본 권한을 모두 비공개로 설정해두고 상자마다 관리 버튼을 눌러서 공개할 상자들만 친구권한으로 바꿔줄 수 있다. 

 


 

3. 워프 유적 이모저모, 뭘 어떻게 써야할까?


  - 워프유적에서 매우 귀중한 자원을 얻을 수 있기도 하다. 그러나 모든 재료들이 좋은 자원은 아니거니와 이에 따라 수급의 우선순위가 있다.


  - 일단 40레벨 워프유적은 믿고 거르자. 사실상 쓸일이 없다. 더 좋은 재료들이 널렸기 때문에 죽음의 위험을 감수하면서까지 채집할 필요 없다.


 

  -


  - 워프유적 아이템이라고 뭐 대단한 추가옵션이 붙어있는 줄 알았다면 큰 오산이다. 해당 워프템들이 어떻게 기능하는지는 바로 설명에 친절하게 써 있다. 금속 못의 경우 진짜 금속 못으로 쓰인다. 기어변속기, 자동차 본넷, 타이어 같은 경우도 마찬가지다. 특별한 물품을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그냥 기어변속기(개선손잡이) / 자동차본넷(금속 철판) / 타이어(고무) 이다. 따라서 일반 불안정섬에서 얻기 힘든 금속 관련한 물품들(금속막대, 자동차 본넷, 금속부속품, 금속기둥 등)을 우선순위로 얻는 것을 추천한다. 콘크리트 파편, 타이어, 덕테이프 따위는 개나 줘버리자. 바위와 고무는 얼마든지 구할 수 있으니까.



 


  - 종종 유적에서 천들(비닐천, 두꺼운 천 등)을 수집할 수 있는데, 좋은 자원이다. 밀도가 높음(내구도 증가) 등의 특수 옵션이 붙어있기 때문에 필요하다면 캐도록 하자.





  - 유리 조각은 현재 오직 워프유적에서만 얻을 수 있는 귀중한 자원이므로 발견한다면 40레벨짜리라도 꼭 캐도록 하자.

유리조각은 파편가공을 통해 무기의 재료로 사용하여 공격력을 높일 수 있다. 활대나 칼날 등에 필요한 갈비뼈를 파편가공하면 괴랄한 옵션의 무기가 만들어진다. 또한, 가공 스킬 중 재료 파편가공을 통해 유리로 바꾸어 유리도마, 유리냄비의 요리도구로 만들 수 있다. 특히 몇몇 음식들은 유리냄비와 유리도마가 없으면 만들지 못한다. 그러므로 유리의 효용가치와 수요는 엄청나다. 발견한다면 우선적으로 채집하는 것을 추천한다.  

 


  - 하지만 누가 뭐래도 워프 유적의 꽃은 가구들이다. 가구들은 크게 1)휴식처(파라솔, 사다리 등) / 2)제작용 설치물(사무용 책상, 런닝머신 등) / 3)일반가구(캣타워 등)로 나뉘어지는데 번호 순이 얻어야할 우선순위이다.


 



  - 특히 60레벨 휴식처는 피로도 회복 속도가 압도적이다. 휴식처의 레벨에 따라 피로도 회복량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피로도를 꽉꽉 채우고 휴식처에 앉은 채로 종료하면 3~40분만에 피로도가 거의 다 내려가는 극도의 효율을 보여준다.



 - 20레벨 대의 휴식용 건축물의 피로도 감소 수치이다. 역시 60레벨 휴식물의 효율이 매우 좋다. 계산해보면 60레벨 휴식처의 전체 피로도 회복 시간은 47분(615/12.9) 20레벨 휴식물의 회복시간은 63분(615/9.7)으로 총 16분 정도의 차이가 난다. 크다면 크고 작다면 작은 차이지만 그래도 얻어두면 좋다.

 


  - 제작용 설치물 또한 보통 레벨에 따라 효율이 정해진다. 똑같은 사무용 책상이더라도 1레벨 사무용 책상은 아무짝에도 쓸모가 없다. 40레벨 이상의 사무용 책상의 경우 수련 작업대의 역할을 한다. 런닝머신도 마찬가지. 40레벨 이상의 런닝머신의 경우 큰 건조대 역할을 한다. 60레벨 제작용 설치물은 지금까지 본 적이 없으니 제보 바란다.


  - 일반 가구들(캣타워 등)은 집 안에 설치했을 때 안락함이 추가되어 피로도를 낮춰주는 역할을 한다.

  *) 사실 피로도 회복은 집을 추천한다. 4x4로 집을 만든 후 거기에 8가지 워프유적 가구를 채워넣어 안락함을 증가시키면 분당 피로도 회복량이 거의 18가까이 올라간다.



 - 따라서 워프 유적에서 우리가 먹어야 할 우선순위는

 1) 1순위 : 휴식용가구

 2) 2순위 : 제작용 설치물 (휴식용 가구가 넉넉하다면 1순위)

 3) 3순위 : 유리파편 (매우 귀중한 재료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불안정섬에서 얻을 수 있는가의 기준선)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4) 4순위 : 금속 재료들

 5) 5순위 : 기타 재료들 (덕테이프, 타이어 등)

 그 외) 고깔모자, 현대의 지폐 등 (안캐도 된다.)


 - 워프유적을 캘 때 필자는 보통 2인 체제로 출격하는데, 몹 어그로를 끌기 위해 유적 좌 우와 상단 지역에 자신의 펫, 파트너, 파트너 펫의 시체를 각각 배치한다. 크레이터 아래쪽은 몹들이 잘 안모이기 때문에 제외한다. 이렇게 시체를 배치하면 몹들이 상단과 좌우의 시체를 파먹느라 정신이 없기 때문에 어느 정도 빠른 채집이 가능해진다. (시체역할을 할 파트너는 반드시 옷과 무기를 다 벗고 가방을 비우고 오자. 내구도 단다.)